Surprise Me!

[진짜정치]이재명, 준연동형 선택한 진짜 이유는?

2024-02-05 11,24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치부 이현수 차장과 '진짜정치' 시작합니다. <br> <br>Q. 이재명 대표가 진짜 준연동형을 선택한 이유는? <br> <br>사실 민주당 측근들도 병립형 회귀를 예상한 이들이 더 많았는데 깜짝 발표였죠. <br> <br>어느 쪽을 선택해도 비난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. <br> <br>병립형으로 회귀하면 진보진영이 분열하고, 연동형을 유지하면 위성정당을 만들지 않겠다 약속을 깨야 하고, 비례대표 공천을 진보진영과 나눠 먹기 해야 하는 상황이었죠. <br> <br>이재명 대표, 마지막까지 주변에 입을 꾹 닫고 있어서, 참모진들은 오늘 긴급 회견 때 권역별 병립형으로 회귀한다는 입장문과 준연동형 유지하는 입장문 두 개 원고를 모두 준비했다고 하더라고요. <br>  <br>연동형을 유지하되, 위성정당을 만들고 그걸 민주당이 주도하는 판으로, 이재명 대표 나름의 고도의 계산 결과를 내놨습니다. <br> <br>Q. 병립형 회귀를 하지 않은 진짜 이유, 고도의 계산은 뭡니까? <br> <br>병립형 카드, 이재명 대표가 마지막까지 들고만 있다가 결국 못 꺼낸 이유 이 장면에 있습니다. <br> <br>어제 양산에서 만난 문재인 전 대통령부터 시민사회세력, 야권 원로들까지. 과거 민주당 주류들의 생각을 거스르지 못한 겁니다. <br>  <br>이재명 대표 측근, "이 대표가 예전 선거제도로 되돌리는 걸 너무 부담스러워했다"고 전합니다.<br> <br>문 전 대통령이 이재명 대표를 만나 언급한 이 대목도 눈에 띄는데요. <br><br>'대선에서도 전화위복' 차기 대선에 우군이 되어줘야 할 사람들을 외면하기 힘들었을 겁니다. <br> <br>당장 총선 승리도 중요하지만 다음 차기 대선을 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문 전 대통령과 만난 뒤 광주에서 준연동형 유지 발표를 하니, 친문 인사들 모두 환영 메시지를 냈거든요. <br> <br>친문친명 분열이 바로 잦아든 효과도 얻은 겁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위성정당 공천을 진보연합 세력과 나눠야 하는데요. 이건 이재명당을 만드는 데 부담인데, <진짜> 이재명의 속내는? <br><br>우리가 민주개혁세력의 맏형이다, 이건 무슨 말이냐면, 위성정당 주도권도, 공천도 민주당이 주도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재명 대표가 오늘 통합비례정당이라는 표현을 썼거든요. <br> <br>민주당이 주도하는 위성정당으로, 야권 전체 지역구 후보를 내는 과정부터 연합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4년 전 총선에서 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을 만들어서 앞 순번을 소수정당 몫으로 비워주고 민주당은 뒷번호 비례대표 후보를 배정했거든요. <br> <br>그때보다 더 직접적으로 공천권을 행사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Q. 그러면 이재명 승부수, 진짜 통할까? <br> <br>민주당 관계자, "선거구 하나 연합하는데도 얼마나 속 시끄러운데"라고 말합니다.<br> <br>4년 전 총선 때도 비례 순번을 두고 민주당과 소수정당 사이에 힘겨루기가 대단했거든요. <br> <br>민주당이 그립을 너무 강하게 잡으면 진보진영이 반발하겠죠. <br> <br>반대로 민주당 권한을 많이 양보한다?<br> <br>그럼 민주당 지지자들이 가만히 안 있을 겁니다. <br> <br>비례대표 1번을 누구로 할지, 지분을 어느 정도 나눌지를 두고 지지층과 연대세력 사이의 아슬아슬한 줄타기가 시작된 겁니다. <br> <br>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 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의 신당까지 출연한다면, 이게 과연 야권 전체 이득일까도 고민도 될 수 있죠. <br> <br>자칫하면 민주당 지지층들이 통합비례정당 대신 이준석, 이낙연 신당을 찍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돌고 돌아 다시 원점으로 온 이재명 대표, 진보세력의 '진짜 맏형'이 될 수 있을지가 관건이 된 겁니다.<br /><br /><br />이현수 기자 soof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